취업지원실

2022년 미래 인력양성과 고용 창출 효과

2022년 미래 인력양성과 고용 창출 강화

2021년 일자리 사업이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중점을 두었다면 2022년에는 ‘미래에 대한 투자’ 중심으로 일자리 예산이 편성되었습니다. 2022년 일자리 예산은 총 31.3조 원으로 2021년 대비 1.2조 원이 증가했으며, 창업지원 사업에서 22.4%, 고용서비스에서 17.6%, 직업훈련에서 13.4% 증가했습니다.

2022년 일자리 예산 편성 내용을 참고하여 취업 준비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2년 일자리 예산 유형별 규모

2022년 일자리 예산 유형별 규모로 상세내용 하단 참고
일자리 사업 전체
2021년: 301,436억 원, 2022년: 313,225억 원, 전년대비 증감율: 3.9%
직업훈련
2021년: 23,340억 원, 2022년: 25,674억 원, 전년대비 증감율: 13.4%
고용서비스
2021년: 17,000억 원, 2022년: 19,988억 원, 전년대비 증감율: 17.6%
고용자려금
2021년: 80,935억 원, 2022년: 78,011억 원, 전년대비 증감율: -3.6%
창업지원
2021년: 24,176억 원, 2022년: 29,582억 원, 전년대비 증감율: 22.4%
직접일자리
2021년: 30,894억 원, 2022년: 33,037억 원, 전년대비 증감율: 6.9%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2021년: 125,090억 원, 2022년: 126,933억 원, 전년대비 증감율: 1.5%
일자리 사업
(177개)
 
직업훈련
(44개)
 
고용서비스
(41개)
 
고용장려금
(26개)
 
창업지원
(26개)
 
직접일자리
(30개)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10개)
 「22년 일자리 예산(안) 31.3조원, 전년 대비 1.2조원 증가」
고용노동부 2021.08.31.

2022년 일자리 사업 주요내용

  • 1.청년 고용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 확대
    청년 고용 응원 프로젝트

    ‘청년친화형 기업 ESG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 고용 개선에 기여하는 기업의 활동 지원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신설

    중소기업에서 청년 채용 시 연 최대 960만 원 지원

    청년지원정책 체감도 향상

    온라인 청년센터 개선하여 청년정책 정보 제공 등

  • 2.미래 경제구조를 선도하는 혁신형 인재 양성
    노동전환 선제적 대응

    미래차, 친환경 등 신산업 분야에 대한 인력 양성 지원

    디지털·신기술 인력양성

    K-디지털 트레이닝, 폴리텍, 특성화고 중심으로 디지털·신기술 분야 인력 양성 지원

    창업기업 지원 확대

    창업기업에 대한 융자사업 확대

  • 3.여성·중장년·장애인의 맞춤형 취업지원 강화
    여성

    3+3 육아휴직제 도입

    육아휴직급여 소득대체율 인상

    육아휴직지원금 확대

    중장년

    고령자 고용지원금 신설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확대

    장애인

    신규고용장려금 신설

    근로지원인 확대

    평생 역량계발·경력설계

    내일배움카드를 활용한 디지털 기초역량 훈련 강화

    중장년 대상 심층 경력설계 지원

  • 4.고용안전망 확충, 민간 일자리 보완 노력 지속
    고용안정망

    국민취업지원제도 확대 지원

    임시 일용근로자와 예술인,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등의 사회보험료 지속 지원

    가사·플랫폼 근로자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회보험료 지원 신설, 서비스 기관에 컨설팅 지원

    「플랫폼 종사자 보호법」 관련 ‘플랫폼 일터 개선 지원금’ 신설

    직접일자리

    직접일자리는 2021년 수준 유지, 노인 일자리 지속 확충

 「22년 일자리 예산(안) 31.3조원, 전년 대비 1.2조원 증가」
출처 : 워크넷
평일 09:30 ~ 22:00
주말 10:00 ~ 18:00

대표전화

02-395-3650